백두다이캐스팅

사람을 진실로 존중하며, 최선을 다하여 고객에게 봉사하고, 항상 성실함을 추구하며, 언제나 고객과 함께하는 동반자 로서 고객만족과 고객감동이 우선되는 경영으로 함께 하겠습니다.

아연다이캐스팅 13

아연합금 다이캐스팅의 강도 특성

형의 체결력이 50톤인 Hot chamber die casting기로 ASTM시험편을 주조하고 기계적 특성 경시변화(seasoning)를 고려하여 주조 후 2주 후 에 시험을한 내용이며 ZDC 2(Zn-4%Al), ZDC 1(Zn-4%Al-1%Cu), B E R IK (Z n - 3.5% A l- 3.5% C u - B e-T i)의 순으로 인장강도와 0.2% 항복강도가 증가한것으로 나옵니다. 시험편의 파단면을 보면 주조 초기의 파단 형태는 합금 종류에 따라 다르나 소성변형도 적고 10년간의 자연시효를 경과한 시험편에서는 ZDC1은 약간 잘록함이 보이며, ZDC2는 연성재질로 관찰되는 컵&콘형 의 전형적인 파면 형태였습니다. ZDC1과 ZDC2는 시효경화에 따라 인장강도는 감소하며 Cu가 높으면 인장강도..

다이캐스팅 소재 아연 합금 강도 와 특성 및 성분

아연 합금의 특성 뛰어난 전기 전도성, 높은 열전도율, 높은 치수 정확성 및 안정성, 뛰어난 박벽(thin wall) 기능, 표면처리 용이함 (도금,도장), 뛰어난 내식성과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용융온도가 낮고 금형 수명이 길며 치수 정도가 좋습니다. 아연은 강도와 경도가 높아서 여러 솔루션에 사용할 수 있으며, 기계 가공, 프레스, 스탬프 및 조립 부품의 대안으로 적합 합니다. 저융점합금으로 주조사이클이 짧고, 에너지비용이 저렴하며, 작업이 용이하여 복잡하고 얇은 제품까지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높은 강도(인장, 압축, 충격)는 다양한 산업분야의 내구재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높은 인성은 다이캐스팅 후 변형가공용(굽힘, 코킹)으로도 적합하게 해줍니다. ■ 다이캐스팅용 아연합금의 주요 성분은 Zn, Al..

다이캐스팅 공정_아연 다이캐스팅 공정

먼저 다이캐스팅의 개요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금속을 녹여서 일정한 모양의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녹은 금속을 채워서 응고시킬 주형이 필요합니다. 다이캐스팅 에서는 금형을 사용하여 주물을 얻는 방식인데 통상 금형주조라고 칭하며 금형주조는 중력금형주조(gravity die casting), 저압주조(low pressure die casting), 와 고압다이캐스팅(high pressure die casting)으로 구분되며 다이캐스팅이라 부르는 것은 이 중 세번째인 고압 다이캐스팅을 말합니다. 다이캐스팅은 금형을 사용해서 용융금속을 금형에 고압력을 가하여 주조하는 방법 입니다. 아연합금 다이캐스팅 공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소재는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아연합금 ZAMAK 3_Zdc2 아연 합금 다이캐스팅의 합금원..

아연합금 다이캐스팅의 강도 특성_Zdc2

아연합금 다이캐스팅은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기계부품, 전기통신기기외 디자인성, 내마모성 및 강도특성이 요구되는 건축물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연합금은 우수한 주조성과 고정밀도화로 조립이 용이한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부품의 질량이나 합금의 밀도가 높은 것입니다. 다이캐스팅 합금의 대표적인 재질은 ZDC2(Zn합금), ADC12(Al합금), AZ91D(Mg합금)이며, ZDC2의 밀도(ρ)를 기준(1.0)으로 하면 경합금 ADC12와 AZ91D은 밀도에서는 우수합니다. ZDC2 다이캐스팅 실체의 인장강도와 연신율 관계를 보면 ZDC2의 Al 은 3.5~4.3%로 KS의 성분 규격 범위이나 실제에는 4% 정도의 범위입니다. 성분의 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관련 학술지에는 기..

전기도금(electroplating)_다이캐스팅 아연도금

전기도금(electroplating) _ 금속, 또는 비금속 표면에 금속을 전기화학적으로 석출(전착)시키는 표면처리. `도금법`이라고도 합니다. 아연도금은 아연(Zn)과 철이 조합되어 아연은 부식되고 (즉,희생도금)철은 방식(防蝕)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철강의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발달하였습니다. 아연도금의 용도가 확대된 원인중의 하나는 아연도금 자체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도금후에 크로메이트(CHROMATE)처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데, 이로써 아연 자체의 내식성은 더욱 증가되고 아울러 외관의 아름다움(광택)을 향상시켜 장식용이나 도장하지용으로도 사용됩니다. 아연도금 방법에는 전기도금, 세라다이징(확산침투), 용융도금, 용사등이 있으나 순수한 아연을 도금하는 점에서 전기도금이 우수합니다. 용도에..